아카이브 탐색
  • 주제분류
    • 윤석열 파면투쟁
    • 미분류
  • 시기분류
    • 비상계엄 이전
    • 2024년 12월
    • 2025년 1월
    • 2025년 2월
    • 2025년 3월
    • 2025년 4월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민주노총
    • 민주노총 level = 1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대단위
    • 연대단위 level = 1 , index = 2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 형태분류
    • 소식지
    • 문서
    • 사진
    • 선전물
    • 구술
    • 미분류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41개의 기록물
  • [사진] 영원한 건설노동자 양회동 열사 노동시민사회장
    영원한 건설노동자 양회동 열사 노동시민사회장이 21일 엄수됐다. 2023년 6월21일 오전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발인한 뒤 서대문 경찰청 앞까지 행진해 노제를 치렀다. 세종대로 인근에서 치러진 영결식을 마친 뒤 양회동 열사는 가족과 동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경기 남양주 마석 모란공원 민주열사묘역에 안장됐다. 장옥기 건설노조 위원장이 상주를 맡아 ​△​열사와 유족에 대한 윤석열정권의 진심어린 사과 △건설현장 불법행위 근절 TF 해체 포함 5개 요구안 등을 내걸고 열사투쟁을 본격화했다.
    생산일자 2023.06.21
  • [취재요청] 영원한 건설노동자 양회동 열사 노동시민사회장
    영원한 건설노동자 양회동 열사 노동시민사회장이 21일 엄수됐다. 2023년 6월21일 오전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발인한 뒤 서대문 경찰청 앞까지 행진해 노제를 치렀다. 세종대로 인근에서 치러진 영결식을 마친 뒤 양회동 열사는 가족과 동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경기 남양주 마석 모란공원 민주열사묘역에 안장됐다. 장옥기 건설노조 위원장이 상주를 맡아 ​△​열사와 유족에 대한 윤석열정권의 진심어린 사과 △건설현장 불법행위 근절 TF 해체 포함 5개 요구안 등을 내걸고 열사투쟁을 본격화했다.
    생산일자 2023.06.21
  • [장례안내] 영원한 건설노동자 양회동 열사 노동시민사회장
    영원한 건설노동자 양회동 열사 노동시민사회장이 21일 엄수됐다. 2023년 6월21일 오전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발인한 뒤 서대문 경찰청 앞까지 행진해 노제를 치렀다. 세종대로 인근에서 치러진 영결식을 마친 뒤 양회동 열사는 가족과 동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경기 남양주 마석 모란공원 민주열사묘역에 안장됐다. 장옥기 건설노조 위원장이 상주를 맡아 ​△​열사와 유족에 대한 윤석열정권의 진심어린 사과 △건설현장 불법행위 근절 TF 해체 포함 5개 요구안 등을 내걸고 열사투쟁을 본격화했다.
    생산일자 2023.06.21
  • [사진] 양회동 열사 염원 실현! 노동, 민생, 민주, 평화 파괴 윤석열 정권 퇴진! 민주노총 결의대회
    민주노총 조합원과 건설노조 등 3만여 명이 2023년 5월17일 오후 세종대로에 모여 ‘양회동 열사 염원 실현! 노동, 민생, 민주, 평화 파괴 윤석열정권 퇴진! 민주노총 결의대회’를 열었다. 양회동 열사 유족이 무대에 올라 열사의 염원을 지켜달라는 말과 함께 열사에게 보내는 편지를 낭독했다. 이날 대회에서 민주노총은 윤석열정권 퇴진 투쟁에 나서는 것이 열사의 유지이자 열사정신을 계승하는 것이라며 당시 6월 최저임금 투쟁, 7월 총파업까지 함께 돌파해나갈 것을 결의했다. 본대회를 마친 민주노총 조합원들은 삼각지와 혜화동 방면으로 행진한 뒤 대회를 마무리했다.
    생산일자 2023.05.17
  • [취재요청] 양회동 열사 염원 실현! 노동, 민생, 민주, 평화 파괴 윤석열 정권 퇴진! 민주노총 결의대회
    민주노총 조합원과 건설노조 등 3만여 명이 2023년 5월17일 오후 세종대로에 모여 ‘양회동 열사 염원 실현! 노동, 민생, 민주, 평화 파괴 윤석열정권 퇴진! 민주노총 결의대회’를 열었다. 양회동 열사 유족이 무대에 올라 열사의 염원을 지켜달라는 말과 함께 열사에게 보내는 편지를 낭독했다. 이날 대회에서 민주노총은 윤석열정권 퇴진 투쟁에 나서는 것이 열사의 유지이자 열사정신을 계승하는 것이라며 당시 6월 최저임금 투쟁, 7월 총파업까지 함께 돌파해나갈 것을 결의했다. 본대회를 마친 민주노총 조합원들은 삼각지와 혜화동 방면으로 행진한 뒤 대회를 마무리했다.
    생산일자 2023.05.17
  • [보도자료] 양회동 열사 염원 실현! 노동, 민생, 민주, 평화 파괴 윤석열 정권 퇴진! 민주노총 결의대회
    민주노총 조합원과 건설노조 등 3만여 명이 2023년 5월17일 오후 세종대로에 모여 ‘양회동 열사 염원 실현! 노동, 민생, 민주, 평화 파괴 윤석열정권 퇴진! 민주노총 결의대회’를 열었다. 양회동 열사 유족이 무대에 올라 열사의 염원을 지켜달라는 말과 함께 열사에게 보내는 편지를 낭독했다. 이날 대회에서 민주노총은 윤석열정권 퇴진 투쟁에 나서는 것이 열사의 유지이자 열사정신을 계승하는 것이라며 당시 6월 최저임금 투쟁, 7월 총파업까지 함께 돌파해나갈 것을 결의했다. 본대회를 마친 민주노총 조합원들은 삼각지와 혜화동 방면으로 행진한 뒤 대회를 마무리했다.
    생산일자 2023.05.17
  • [사진]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세계노동절대회
    제133주년 세계노동절을 맞은 2023년 5월1일, 민주노총이 전국 15개 광역시도에 13만여 명(서울 3만5천여 명)이 모여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세계노동절대회’를 열었다.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대회를 마친 조합원들은 용산 대통령실과 서울지방고용노동청, 헌법재판소 등 3개 방향으로 행진했다. 그러나 이날 오전 윤석열정권의 건설노동자 탄압에 항거하며 건설노조 강원건설지부 3지대장인 양회동 조합원이 강원지법 앞에서 분신하는 일이 벌어졌다. 양회동 열사의 분신은 민주노총이 윤석열 파면투쟁에 직접 나서는 계기가 됐다.
    생산일자 2023.05.01
  • [취재요청]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세계노동절대회
    제133주년 세계노동절을 맞은 2023년 5월1일, 민주노총이 전국 15개 광역시도에 13만여 명(서울 3만5천여 명)이 모여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세계노동절대회’를 열었다.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대회를 마친 조합원들은 용산 대통령실과 서울지방고용노동청, 헌법재판소 등 3개 방향으로 행진했다. 그러나 이날 오전 윤석열정권의 건설노동자 탄압에 항거하며 건설노조 강원건설지부 3지대장인 양회동 조합원이 강원지법 앞에서 분신하는 일이 벌어졌다. 양회동 열사의 분신은 민주노총이 윤석열 파면투쟁에 직접 나서는 계기가 됐다.
    생산일자 2023.05.01
  • [보도자료]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세계노동절대회
    제133주년 세계노동절을 맞은 2023년 5월1일, 민주노총이 전국 15개 광역시도에 13만여 명(서울 3만5천여 명)이 모여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세계노동절대회’를 열었다.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대회를 마친 조합원들은 용산 대통령실과 서울지방고용노동청, 헌법재판소 등 3개 방향으로 행진했다. 그러나 이날 오전 윤석열정권의 건설노동자 탄압에 항거하며 건설노조 강원건설지부 3지대장인 양회동 조합원이 강원지법 앞에서 분신하는 일이 벌어졌다. 양회동 열사의 분신은 민주노총이 윤석열 파면투쟁에 직접 나서는 계기가 됐다.
    생산일자 2023.05.01
  • [성명]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세계노동절대회
    제133주년 세계노동절을 맞은 2023년 5월1일, 민주노총이 전국 15개 광역시도에 13만여 명(서울 3만5천여 명)이 모여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세계노동절대회’를 열었다.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대회를 마친 조합원들은 용산 대통령실과 서울지방고용노동청, 헌법재판소 등 3개 방향으로 행진했다. 그러나 이날 오전 윤석열정권의 건설노동자 탄압에 항거하며 건설노조 강원건설지부 3지대장인 양회동 조합원이 강원지법 앞에서 분신하는 일이 벌어졌다. 양회동 열사의 분신은 민주노총이 윤석열 파면투쟁에 직접 나서는 계기가 됐다.
    생산일자 2023.05.01
  • [사진] 퇴진 광장을 열자! 9.28 윤석열 정권 퇴진 시국대회 사진
    민주노총이 2024년 9월28일 전국동시다발 ‘퇴진광장을 열자! 9.28 윤석열정권 퇴진 시국대회’를 열고 윤석열 퇴진을 본격화했다. 전국동시다발로 열린 시국대회에는 민주노총 조합원을 비롯해 농민과 빈민 등 각계각층 민중도 함께했다. 5천여 명이 참여한 수도권대회는 본집회를 마친 뒤 용산 대통령실을 향해 행진하던 대오가 항의행동을 펼치던 중 민주노총 조합원 1명이 연행되는 일이 벌어졌다.
    생산일자 2024.09.28
  • [포스터]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세계노동절대회
    제133주년 세계노동절을 맞은 2023년 5월1일, 민주노총이 전국 15개 광역시도에 13만여 명(서울 3만5천여 명)이 모여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세계노동절대회’를 열었다.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대회를 마친 조합원들은 용산 대통령실과 서울지방고용노동청, 헌법재판소 등 3개 방향으로 행진했다. 그러나 이날 오전 윤석열정권의 건설노동자 탄압에 항거하며 건설노조 강원건설지부 3지대장인 양회동 조합원이 강원지법 앞에서 분신하는 일이 벌어졌다. 양회동 열사의 분신은 민주노총이 윤석열 파면투쟁에 직접 나서는 계기가 됐다.
    생산일자 2023.05.01
  • [손피켓]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세계노동절대회
    제133주년 세계노동절을 맞은 2023년 5월1일, 민주노총이 전국 15개 광역시도에 13만여 명(서울 3만5천여 명)이 모여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심판! 5.1 총궐기 세계노동절대회’를 열었다.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대회를 마친 조합원들은 용산 대통령실과 서울지방고용노동청, 헌법재판소 등 3개 방향으로 행진했다. 그러나 이날 오전 윤석열정권의 건설노동자 탄압에 항거하며 건설노조 강원건설지부 3지대장인 양회동 조합원이 강원지법 앞에서 분신하는 일이 벌어졌다. 양회동 열사의 분신은 민주노총이 윤석열 파면투쟁에 직접 나서는 계기가 됐다.
    생산일자 2023.05.01
  • [취재요청] 퇴진 광장을 열자! 9.28 윤석열 정권 퇴진 시국대회 취재요청
    민주노총이 2024년 9월28일 전국동시다발 ‘퇴진광장을 열자! 9.28 윤석열정권 퇴진 시국대회’를 열고 윤석열 퇴진을 본격화했다. 전국동시다발로 열린 시국대회에는 민주노총 조합원을 비롯해 농민과 빈민 등 각계각층 민중도 함께했다. 5천여 명이 참여한 수도권대회는 본집회를 마친 뒤 용산 대통령실을 향해 행진하던 대오가 항의행동을 펼치던 중 민주노총 조합원 1명이 연행되는 일이 벌어졌다.
    생산일자 2024.09.28
  • [보도자료] 퇴진 광장을 열자! 9.28 윤석열 정권 퇴진 시국대회 보도자료
    민주노총이 2024년 9월28일 전국동시다발 ‘퇴진광장을 열자! 9.28 윤석열정권 퇴진 시국대회’를 열고 윤석열 퇴진을 본격화했다. 전국동시다발로 열린 시국대회에는 민주노총 조합원을 비롯해 농민과 빈민 등 각계각층 민중도 함께했다. 5천여 명이 참여한 수도권대회는 본집회를 마친 뒤 용산 대통령실을 향해 행진하던 대오가 항의행동을 펼치던 중 민주노총 조합원 1명이 연행되는 일이 벌어졌다.
    생산일자 2024.09.28
  • [교육지] 퇴진 광장을 열자! 9.28 윤석열 정권 퇴진 시국대회 보도자료
    민주노총이 2024년 9월28일 전국동시다발 ‘퇴진광장을 열자! 9.28 윤석열정권 퇴진 시국대회’를 열고 윤석열 퇴진을 본격화했다. 전국동시다발로 열린 시국대회에는 민주노총 조합원을 비롯해 농민과 빈민 등 각계각층 민중도 함께했다. 5천여 명이 참여한 수도권대회는 본집회를 마친 뒤 용산 대통령실을 향해 행진하던 대오가 항의행동을 펼치던 중 민주노총 조합원 1명이 연행되는 일이 벌어졌다.
    생산일자 2024.09.28
  • [현수막] 퇴진 광장을 열자! 9.28 윤석열 정권 퇴진 시국대회 현수막
    민주노총이 2024년 9월28일 전국동시다발 ‘퇴진광장을 열자! 9.28 윤석열정권 퇴진 시국대회’를 열고 윤석열 퇴진을 본격화했다. 전국동시다발로 열린 시국대회에는 민주노총 조합원을 비롯해 농민과 빈민 등 각계각층 민중도 함께했다. 5천여 명이 참여한 수도권대회는 본집회를 마친 뒤 용산 대통령실을 향해 행진하던 대오가 항의행동을 펼치던 중 민주노총 조합원 1명이 연행되는 일이 벌어졌다.
    생산일자 2024.09.28
  • [손피켓] 퇴진 광장을 열자! 9.28 윤석열 정권 퇴진 시국대회 손피켓
    민주노총이 2024년 9월28일 전국동시다발 ‘퇴진광장을 열자! 9.28 윤석열정권 퇴진 시국대회’를 열고 윤석열 퇴진을 본격화했다. 전국동시다발로 열린 시국대회에는 민주노총 조합원을 비롯해 농민과 빈민 등 각계각층 민중도 함께했다. 5천여 명이 참여한 수도권대회는 본집회를 마친 뒤 용산 대통령실을 향해 행진하던 대오가 항의행동을 펼치던 중 민주노총 조합원 1명이 연행되는 일이 벌어졌다.
    생산일자 2024.09.28
  • [사진]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취재요청]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보도자료]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성명]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교육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선전물]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12

민주노총 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