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주제분류
    • 윤석열 파면투쟁
    • 미분류
  • 시기분류
    • 비상계엄 이전
    • 2024년 12월
    • 2025년 1월
    • 2025년 2월
    • 2025년 3월
    • 2025년 4월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민주노총
    • 민주노총 level = 1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대단위
    • 연대단위 level = 1 , index = 2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 형태분류
    • 소식지
    • 문서
    • 사진
    • 선전물
    • 구술
    • 미분류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13개의 기록물
  • [장례안내] 영원한 건설노동자 양회동 열사 노동시민사회장
    영원한 건설노동자 양회동 열사 노동시민사회장이 21일 엄수됐다. 2023년 6월21일 오전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발인한 뒤 서대문 경찰청 앞까지 행진해 노제를 치렀다. 세종대로 인근에서 치러진 영결식을 마친 뒤 양회동 열사는 가족과 동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경기 남양주 마석 모란공원 민주열사묘역에 안장됐다. 장옥기 건설노조 위원장이 상주를 맡아 ​△​열사와 유족에 대한 윤석열정권의 진심어린 사과 △건설현장 불법행위 근절 TF 해체 포함 5개 요구안 등을 내걸고 열사투쟁을 본격화했다.
    생산일자 2023.06.21
  • [소식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현장순회 제주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소식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현장순회 인천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소식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현장순회 대구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소식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현장순회 경남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소식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현장순회 경기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소식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현장순회 부산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소식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현장순회 전북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소식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현장순회 경북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소식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현장순회 대전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소식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현장순회 서울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소식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현장순회 전남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 [소식지] 11.9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총궐기 현장순회 광주
    민주노총 10만여 조합원이 2024년 11월9일 서울 세종대로에 모여 윤석열정권 퇴진광장을 열기 위한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2024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16개 산별연맹이 도심 14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각기 다른 경로로 행진하며 본대회 장소로 모였다. 행진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도발과 폭력으로 인해 부상자 및 연행자가 다수 발생하기도 했다.
    생산일자 2024.11.09
    1

민주노총 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